-
About Blog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직장인, 스물 여덟살 김성곤입니다. 본 블로그는 『직장인 고니의 데이터 분석』이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전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까지는 블로그 이름이 대학원생 고니였는데 2023년부터 직장인 고니로 변경됐습니다! Samsung Electronics Yonsei Graduate School Data Analysis Certificate Samsung Electronics에는,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평가및분석 직무에 대한 지원부터 합격까지의 모든 과정이 담겨있습니다. 어떻게 자기소개서를 작성했는지, 어떤 스펙을 가지고 지원했는지, 인적성 검사 준비 과정 및 결과, 면접 준비 과정 및 결과, 채용검진 등의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룹니다. Yonsei Graduate S..
-
About Me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직장인, 스물 여덟살 김성곤입니다. 본 게시글은 『직장인 고니의 데이터 분석』을 운영하고 있는 저 스스로에 대한 소개글입니다. 대학생 때부터 직장인이 된 현재까지 경험한 것들을 정리해놓은 글로, 사실 중요한 글은 아닙니다 :-) 새로운 경험이 하나씩 추가될 때마다 글을 수정할 계획이며, 그냥 블로그 주인이 "이런 사람이구나!" 정도로 가볍게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평가및분석 저는 2015년 3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정보통계학과에 입학하여 2021년 2월에 졸업했습니다. 그리고 2021년 3월,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정보통계학과 대학원에 입학하여 2023년 2월에 졸업했습니다. 그리고 정말 감사하게도 졸업과 동시에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평..
-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평가및분석 합격 - (1) [서류 전형]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직장인, 스물 여덟살 김성곤입니다. 저의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합격 후기를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이 글이 앞으로 삼성전자에 지원하실 많은 취준생 분들께 쪼끔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저는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사업부의 평가및분석 직무에 최종 합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서류 전형 후기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지원 당시 제가 어떤 스펙을 가지고 있었는지 2) 제가 왜 삼성전자에, 그중에서도 파운드리사업부에, 평가및분석 직무에 지원했는지 저의 서류 전형 지원부터 합격까지의 과정을 함께 보실까요? # 지원 당시 스펙 제가 당시에 가지고 있던 스펙들 중에서 삼성전자 지원서에 작성한 것들만 정리해봤습니다! 조금 특이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
-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평가및분석 합격 - (2) [GSAT]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직장인, 스물 여덟살 김성곤입니다.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서류 합격 후기에 이어 이번에는 GSAT 후기를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삼성전자에 지원하지 않아도 취준생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그 이름 GSAT...!🔥 GSAT은 Global Samsung Aptitude Test의 약자로, 삼성그룹의 인적성 시험을 뜻합니다. 본격적인 내용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는 제가 누구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GSAT에 합격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충분한 시간을 잡고 차근차근 본인만의 풀이법을 만들어가며 공부하는 것이 안정적인 고득점을 이끌어내는 최고의 방법이겠지만, 당장 GSAT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이제 처음 공부를 시작한다 하시는 분들도 분명 많이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 또..
-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평가및분석 합격 - (3) [면접 전형]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직장인, 스물 여덟살 김성곤입니다. 2022년 하반기 삼성전자 GSAT 합격 후기에 이어 이번에는 면접 후기를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취준생 분들께서 가장 궁금해하실 부분이 바로 면접 전형 후기가 아닐까 싶어요. 저도 면접을 준비하면서 삼성전자 면접 후기 글만 100개는 찾아서 읽어본 것 같습니다😂 서류 지원도 그렇고 GSAT도 그랬지만 면접 또한 삼성전자가 제 인생에서 첫 번째 회사 면접이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면접 준비를 처음 시작할 당시에는 회사 면접에서는 주로 어떤걸 물어보고 어떤 분위기로 면접이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었어요. 학교 생활 중 학생회나 학술회 같은 단체 활동을 하며 면접을 본 경험은 많았지만 회사 면접은 느낌이 또 다르니까요...!..
-
인공지능 vs 머신러닝 vs 딥러닝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드디어 머신러닝 카테고리에도 첫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거의 1년이 다 되어 가는데 이제서야 머신러닝 글을 처음으로 작성한다니 정말 반성해야겠습니다. 작년에 뭐가 그리 바빴는지...😂 다 핑계일 뿐이고 결국은 제가 게을렀던 탓입니다! 올해는 머신러닝 글도 열심히 작성하고 딥러닝 글도 이어서 쭉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작년부터 쭉 진행하고 있는 연구가 있는데 연구에 대해서도 글을 좀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시간은 머신러닝에 대해 처음으로 다루는 시간인만큼 도대체 머신러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부터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머신러닝이라는 단어는 비전공자분들께서도 다들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지도학습 vs 비지도학습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머신러닝은 크게 지도학습, 비지도학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엇을 지도하고 무엇을 지도하지 않길래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을까요?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의 차이점은 인공지능에게 정답을 지도 즉, 정답을 학습시켜주었느냐입니다. 정답을 지도하면 지도학습, 지도하지 않으면 비지도학습이겠죠? #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정답을 학습시킨다. 정답을 학습시킨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신다고요?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아마 예시를 함께 살펴보시고나면 한 번에 이해가 되실겁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두 집단..
-
분류 vs 예측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분류와 예측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머신러닝은 타겟변수 즉, 정답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크게 지도학습, 비지도학습으로 나눌 수 있다고 말씀드렸던거 기억나시나요? 분류와 예측은 바로 지도학습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지도학습을 타겟변수의 속성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면 분류와 예측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모델마다 어떤 것은 분류에 적합하고, 어떤 것은 예측에 적합하기 때문에 우리는 타겟변수의 속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모델을 사용할지를 선정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타겟변수의 속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부터 살펴봅시다. 분류와 예측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범주형 변수와 연속형 변수라는 개념을 알아야..
-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의사결정나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본격적으로 머신러닝 모형에 대해 다루는 첫 번째 포스팅이 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클래스 불균형 자료와 샘플링 기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기억나시나요? 클래스 불균형과 샘플링이라는 두 개념 모두 범주형 변수를 타겟변수로 가지는 분류모형을 대상으로 하는 것들이었습니다. 혹시 기억이 잘 나지 않으신다면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의사결정나무는 가장 대표적인 분류모형 중 하나입니다. 물론 연속형 타겟변수를 가지는 예측 문제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분류 문제에 주로 사용하곤 합니다. 정말 단순한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높은 성능과 결과 해석의..
-
대학원생이 알려주는 친절한 딥러닝 (1) - 딥러닝이란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고니입니다. 이번 게시글을 시작으로 딥러닝에 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그 이름도 유명한 딥러닝이 도대체 무엇인지부터 시작하여 딥러닝의 발전 역사를 지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딥러닝 기법 소개까지 딥러닝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다룰 예정입니다. 딥러닝이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여러분께서도 어디선가 딥러닝이라는 단어를 접하셨기 때문에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실 것입니다. 도대체 딥러닝이 무엇이길래 전세계가 이토록 열광하는 것일까요? 첫 시간에는 바로 이 딥러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딥러닝(Deep Learning)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 층을 ..
-
대학원생이 알려주는 친절한 딥러닝 (2) - 인공신경망의 출발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고니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그 이름도 유명한 딥러닝이 도대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그동안은 마냥 어렵고 생소하게만 느껴졌던 딥러닝이 막상 알고 보면 생각보다 별거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딥러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이라고 말씀드렸던 인공신경망(Artificial Nerural Network, ANN)의 출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인공 신경망이라는 개념은 미국의 신경생리학자 워렌 맥컬록과 논리학자 윌터 피츠에 의해 세상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어떻게하면 기계를 더욱 똑똑하게 학습시킬 수 있을까 고민하던 그들은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기계가 사람처럼 ..
-
대학원생이 알려주는 친절한 딥러닝 (3) - 퍼셉트론의 등장과 인공지능의 1차 겨울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고니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딥러닝의 기본 개념인 인공신경망의 출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인공신경망은 사람의 신경망을 본떠 만든 네트워크 구조로, “기계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진정한 인공지능이 아닐까?”라는 생각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공신경망의 초기 연구 단계에서 제안되었던 퍼셉트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퍼셉트론에 대해서 잘 이해하시고 나면 앞으로 공부하게 될 인공신경망과 딥러닝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쉬워질 것입니다. # TLU 지난 시간에 소개해드렸던 “인공신경망이라는 개념을 세상에 처음 등장시킨 두 인물”이 누구였는지 기억하시나요? 미국의 신경생리학자 워렌 맥컬록과 논리학자 윌터 피츠였습니다..
-
대학원생이 알려주는 친절한 딥러닝 (4) - 다층 퍼셉트론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고니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인공신경망의 초기 연구 단계에서 제안되었던 퍼셉트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더 나아가 이야기의 말미에는 퍼셉트론이 불러온 인공지능의 1차 겨울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다들 기억나시나요? 잠시 지난 이야기로 돌아가 볼까요? 1957년, 로젠블래트에 의해 그 이름도 유명한 “퍼셉트론”이 세상에 등장했습니다. 퍼셉트론은 하나의 직선을 기준으로 분류를 진행하는 선형 분류기였죠? 이에 마빈 민스키 박사가 XOR 논리 연산을 예시로 들며 퍼셉트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결국 퍼셉트론의 몰락과 함께 인공지능의 1차 겨울을 불러왔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인공지능의 빙하기를 깨고 부활의 신호탄을 ..
-
대학원생이 알려주는 친절한 딥러닝 (5) - 활성화 함수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새해가 밝으면서 제가 랩장이 되었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새내기 대학원생으로 살아가다가 갑자기 랩장이 되니 기분이 묘하기도 하면서 뿌듯합니다. 딥러닝 관련 마지막 게시글이 작년 5월 11일이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반 년이 넘는 시간동안 포스팅을 하지 않고 있었다니 너무나도 반성합니다. 도대체 저는 무엇이 그리도 바빴던 것일까요?😥 자신의 일에도 최선을 다하시며 포스팅도 꾸준히 하시는 분들 정말 존경합니다...! 다들 정말 대단하신 분들 같습니다. 아주 먼 옛날이지만 지난 시간에는 다층 퍼셉트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더 나아가 이야기의 말미에는 활성화 함수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다들 기억나시나요? 사실 활성화 함수..
-
Over-Sampling & Under-Sampling & SMOTE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랩장 대학원생, 석사 3학기 고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클래스 불균형 자료와 다양한 샘플링 기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분류와 예측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던거 기억나시나요? 분류는 범주형 타겟변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고, 예측은 연속형 타겟변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번 시간에 다룰 내용은 바로 분류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클래스 불균형 자료란 무엇이며, 샘플링 기법은 또 무엇인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클래스 불균형 자료(Imbalanced Data) 클래스 불균형 자료는 타겟변수의 클래스가 불균형한 자료를 의미합니다. 타겟변수의 클래스가 불균형하다는게 무슨 말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신다고요? 언제나 그랬듯이 이번에도 간단한 예시..
-
제9회 2021 빅콘테스트 개최 일정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어느새 벌써 '그' 시즌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벌써부터 심장이 두근거리는데요...! 바로 전국 빅데이터 분석 공모전 '빅콘테스트'가 개최되는 시즌입니다. # 빅콘테스트 '빅콘테스트'는 한국정보화진흥원과 빅데이터포럼이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후원하는 데이터 분석 대회로, 데이터 분석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접해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를 비롯하여 매년, SK telecom, 신한카드, NC SOFT 등 다양한 기업이 주관하며 데이터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참여 기업은 매년 바뀌기 때문에 올해에는 또 어떤 기업에서 소중한 데이터를 제공해줄지 기대가 됩니다. 데이터 분석을 공부..
-
제9회 2021 빅콘테스트 세부 일정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어제인 2021년 8월 3일, 데이터 공개와 함께 전국 빅데이터 분석 공모전 '빅콘테스트'가 시작되었습니다. 저는 챔피언리그에 참가신청을 완료했습니다! 최선을 다해서 수상 후기까지 남길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올해 열린 '2021 빅콘테스트'에는 예년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하는데요! 함께 살펴볼까요?✌ # 빅콘테스트 대회 일정 '2021 빅콘테스트'는 7월 26일부터 8월 20일까지 참가 접수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어제인 8월 3일 오후 4시에 모든 리그에 대한 데이터가 일괄적으로 공개되면서 본격적으로 대회가 시작되었습니다! 제출기간은 9월 15일 오후 4시까지로, 데이터가 공개된 시점부터 제출까지는 총 44일의 시간이 ..
-
제9회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제출 <스포츠테크>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어느덧 벌써 2학기가 되었으니 아직 새내기라는 표현이 어울릴지 모르겠네요...!🤣 2021년 8월 3일에 시작되었던 전국 빅데이터 분석 공모전 '빅콘테스트'의 제출 기간이 어제인 2021년 9월 15일에 드디어 마감되었습니다! 한달이 조금 넘는 기간동안 정말 열심히 달린 것 같습니다. 대학원생이라는 신분의 특성상 대회 외적으로도 해야 하는 업무가 많아서 온전히 모든 것을 쏟아 붓지는 못했으나, 그 속에서도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아쉬움이나 후회는 없습니다.✌ 저는 지난 게시글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챔피언리그에 참가했습니다. 챔피언리그는 다시 스포츠테크와 수산Biz 부문으로 나뉘었는데, 저는 그 중에서도 스포츠..
-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본선 진출!! <스포츠테크>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2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2학기이지만 그래도 아직 학년으로 따지면 1학년이니까 올해까지는 계속 새내기로 살겠습니다!🤣 2021년 9월 15일에 최종 결과물을 제출한지도 벌써 한 달이 넘었습니다. 결과물을 제출한 9월 15일부터 Test Data의 마지막 날짜였던 10월 8일까지 정말 단 하루도 빠짐없이 야구 경기를 모두 챙겨본 것 같습니다. 매일밤 경기 결과가 집계될 때마다 저희 팀이 도출해낸 예측값이 얼마나 잘 맞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까지는 너무 잘 맞추다가 내일은 또 오차가 커지고, 다음 날이되면 또 오차가 줄어들고, 정말 쫄깃쫄깃한 경험이었습니다. 지난 게시글들에서 계속 말씀드렸던 것처럼 챔피언리그 스포츠테크 ..
-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본선PT 후기 <스포츠테크>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2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벌써 2학기가 끝나갑니다. 정말 시간이 이렇게 빨라도 되나 싶습니다. 두 학기만 더하면 석사 과정도 끝이라니...! 그래도 아직 1학년이니까 이번달까지는 계속 새내기로 살겠습니다!🤣 지난 게시글들에서 계속 말씀드렸던 것처럼 챔피언리그 스포츠테크 부문의 「프로야구 배럴(Barrel)을 통한 타자 성적 예측」 부문에 참가헀습니다! 그리고 기다리고 기다리던 1차 심사 결과가 2021년 10월 22일에 발표되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1차 심사 결과는 합격이었습니다. 본선 진출!!!😎 본선에 진출했으니 2차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2차 심사는 바로 PT 발표였습니다. 9월 15일에 제출한 분석보고서를 바탕으로 ..
-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수상 확정!! <스포츠테크>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2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벌써 올해도 3주 밖에 남지 않았지만 그래도 1학년이니까 올해까지는 계속 새내기로 살겠습니다!🤣 시간이 정말 점점 더 빠르게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특히 올해는 유독 더 빨랐던 것 같습니다. 지난 게시글들에서 계속 말씀드렸던 것처럼 챔피언리그 스포츠테크 부문의 「프로야구 배럴(Barrel)을 통한 타자 성적 예측」 부문에 참가헀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2차 심사 결과 즉, 최종 수상 여부가 발표되었습니다. 2차 심사 때 심사위원분들께서 날카로운 질문을 많이 던져주신 탓에 2차 심사 결과는 1차 심사 결과보다도 예상하기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더군다나 이번 2021 빅콘테스트 데이터분석 분야에는 무려 약 1..
-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대상 수상!! <스포츠테크>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2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벌써 올해도 열흘 남짓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아마 이번 글이 올해의 마지막 포스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새내기로서 쓰는 마지막 글이라니 기분이 싱숭생숭합니다!😂 시간이 정말 점점 더 빠르게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벌써부터 기대가 됩니다. 석사로서의 마지막 1년을 열심히 잘 달려서 제가 원하는 기업으로의 취업까지 꼭 성공하고 싶습니다. 드디어 국내 최대 규모의 데이터분석 경진대회 「2021 빅콘테스트」의 막이 내렸습니다. 지난 게시글들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저희 팀은 챔피언리그의 스포츠테크 부문 「프로야구 배럴(Barrel)을 통한 타자 성적 예측」에 참가했습니다. 그리고 정말 감사..
-
2022 빅콘테스트 설명회 영상 촬영 후기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취준 대학원생, 석사 4학기 스물 일곱살 김성곤입니다. 벌써 4학기가 시작되었습니다. 블로그에 글을 반년 가까이만에 작성하는 것 같습니다. 그동안 나름대로 다양한 연구를 하면서 바쁘게 지내기는 했지만 그래도 정말 시간이 이렇게 빨라도 되나 싶습니다. 벌써 네 달만 지나면 석사 과정이 끝이라니...! 졸업이라니...! 제가 벌써 석사과정의 끝자락에 가까워졌다는 사실이 믿기지가 않습니다.🤣 저는 2021 빅콘테스트 챔피언리그 스포츠테크 부문에서 「프로야구 배럴(Barrel)을 통한 타자 성적 예측」을 주제로 대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습니다. 지금도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살아갈만큼 저에게는 정말 너무 소중하고 값진 경험입니다. 대회 이후에도 유명한 잡지에 인터뷰도 해..
-
제41회 SQL 개발자(SQLD) 자격검정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드디어 블로그에 처음으로 자격증 시험 관련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네요 :-) 어떤 자격증인가 하면, 어느새 1주일 앞으로 다가온 SQLD 자격증 시험입니다. 아직 책도 안펼쳐봤는데 시간이 너무 빠르네요 :-( 그래도 1주일만에 합격했다는 분들도 계시니까 저도 한 번 1주일 챌린지 도전해보겠습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3주 정도를 공부하시고 합격하신 것 같아서 조금 불안한 마음이기는 합니다😥 그래도 저는 저를 믿기 때문에! 꼭 한 번에 합격해서 기분좋게 시험 후기와 합격 수기를 남겨보겠습니다!!! 제가 응시하는 시험 회차는 제41회로 다가오는 5월 29일(토)에 예정되어있습니다. 본 게시글은 SQLD가 어떤 자격증인지에 대..
-
제41회 SQL 개발자(SQLD) 자격검정 후기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제가 드디어 SQLD 자격증 시험을 보고 돌아왔습니다! 시험은 어제 5월 29일(토)에 서울특별시 여의도에 위치한 여의도중학교에서 봤습니다. 지난 게시글에서도 언급했듯이 1주일 챌린지에 도전해보겠다는 각오를 다졌었는데, 결과적으로 일주일도 공부하지 못하고 약 3일 정도만 공부를 한 상태로 시험을 치르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아니 이 사람아 다른 사람들은 3주씩 공부한다는데 1주일도 모자랄 판에 왜 3일 밖에 공부하지 않았느냐! 라는 질문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핑계를 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난 1주일 사이에 계획에 없던 깜짝 과제가 3개나 등장했습니다. 지도교수님께서 깜짝 세미나를 진행하셔서 세미나 준비에 시간을..
-
제41회 SQL 개발자(SQLD) 자격검정 결과 (공부 기간 3일)
안녕하세요. 데이터 분석하는 새내기 대학원생, 석사 1학기 스물 여섯살 김성곤입니다. 드디어 제41회 SQL 개발자(SQLD) 자격검정의 합불 결과가 나왔습니다 :-) 지난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처음에는 1주일만 빠짝 투자해서 자격증을 따보자! 라는 마음가짐으로 1주일 챌린지에 도전할 계획이었는데, 결과적으로는 일주일도 공부하지 못하고 단, 3일만 공부를 한 상태로 시험을 치르는 사고가 발생했었습니다.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도 2일 공부하고 시험을 봤었는데 이정도면 벼락치기 중독이 아닌가 싶습니다. 예상 시험 결과는 합격과 불합격 그 어딘가에 즉, 60점 언저리의 점수였습니다. 제가 지난 포스팅에서 시험지를 펼치는 순간 굉장히 당황스러웠다는 말씀을 드렸던 것 기억하시나요? 기출문제에서 보지 ..